주말이 시작되기 전 토요일 새벽 미국은 코로나
새로우면서도 엄청난
뉴스로 시장을 달구었습니다.
미국의 글로벌 제약사 MERCK 사가
위 사진과 같이 알약으로 먹는
코로나 치료제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고
결과 값이 유의미하다는 발표를 내놓은 것입니다.
775명의 경증에서부터 중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코로나의 증세를 보이고 있는
환자에 대해서 임상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실험의 진행방법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플라시보
효과를 이용하여서 진행되었습니다.
플라시보실험
한쪽의 환자 대상군에게는 실험을 위한 약을 주고
다른 한쪽에는 동일한 약이라고 알리기만 하고
실제로는 아무 구성 요소가 없는 약을 제공
그리고 이 실험을 통해서
환자들의 절반 이상이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더욱이 이 약을 투여한 환자가 1명도
죽지 않음에 따라
정도가 심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데
충분한 효과를 보이며
결국 실험을 통해서
유의미한 결과를 내었다.
마크사의 코로나 치료제는
기존의 진행되던 코로나 치료제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스파이크 단백질이라는
유전 정보를 목표로 하지 않아서
유의미한 결과를 내었다는 것이업계의 주된 평가입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변이 바이러스로
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위 실험을 통해서
변이 바이러스에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고 합니다.
임상실험이 유의미한 결과를 냈다고 해서
바로 우리가 저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은 현재 치료제를 이용한 연구 결과가
유의미한 수치를 보였다는 이야기이지
정식적으로 유통이 되고 투여를 할 수 있는
FDA의 승인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마크사의 코로나 치료제는
최초로 FDA에 긴급 사용 신청을 하는
케이스입니다.
시장에서도 가격을 통해서 반응을 했습니다.
머크사의 코로나 치료제는
생각보다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는지
이 기사가 발표된 이후로
직전일 거래가 75불에서 바로
85불로 상승을 하였습니다.
우리가 자주 말하는 선반영이
되어있지 않았는지
즉각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요새 열심히 접종을 위해
본인들의 백신을 팔고 있는 모더 나입니다.
모더나의 주가는 바로
하락을 시작하였습니다.
이제 코로나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가
바뀌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코로나에 감염이 되는 경우
병세가 악화가 되는 것을 걱정하여서백신을 접종하는 경우였습니다.
하지만 치료제가 효과를 발휘해서더 이상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막아준다면 사람들은 접종의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코로나가 이제지금과 같이 심각한 질병으로취급되지 않게 되리라는 이야기입니다.사람들은 이제 일상으로 회복하고자 할 것이며 그동안에 억제되었던그들의 에너지를 다시 폭발시키고자 할 것입니다.
이런 에너지의 폭발이 기대되는 부분은
일차적으로 여행일 겁니다.
위의 차트는 미국의 항공사들을
편입하고 있는 JETS ETF입니다.
최근에 델타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해서
여행 재개에 대한 불투명성으로 하락을 하던 추세에서
코로나 치료제의 실험 결과 발표로 인해서
다시 상승을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영국의 프리미어리그의 모습입니다.
마스크를 쓰지 않고 사람들이 응원을 하고 있습니다.
요새 밖에 나가면 마스크 안 쓰고 다녔으면
하는 생각이 심해지는데
저 말고도 많은 분들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동안 못 가던 여행도 다들 가고 싶어 할 겁니다.
경제적 자유를 꿈꾸고 우리는 투자라는 일련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변곡점이 왔을 때
그 이후의 세상의 모습을 어떻게 바뀌고 우리는
어디에 투자를 하면 좋을지
이번 연휴에는 한번 고민을 해보는 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부족한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댓글과 구독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박대리 이전 > 투자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인 타워팰리스 89억 구매 - 내국인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중국대출) (38) | 2021.10.06 |
---|---|
오징어게임의 수혜주? - 역시 넷플릭스 (Netflix) 스트리밍계의 최강자 (28) | 2021.10.05 |
일본 100대 총리 기시다 후미오 - 포스트 아베 ? 아베의 허수아비? (27) | 2021.10.02 |
소비의 계절이 다가온다 But 살 물건이 없다 - 물건 보다 비싼 배값 (71) | 2021.09.29 |
헝다(에바그란데사태)2 - 세계적 조정의 시작? 중국 안의 이벤트? (40) | 2021.09.27 |
댓글